필모가 곧 전기라는 기예르모 델 토로..."프랑켄슈타인, 나와 아버지 사이 우화"[30th BIFF]

작성일 2025.09.20 조회수 105

작성자 정보

  • 픽인사이드 연예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필모가 곧 전기라는 기예르모 델 토로..."프랑켄슈타인, 나와 아버지 사이 우화"[30th BIFF]

델 토로 감독은 '판의 미로 - 오필리아와 세 개의 열쇠' '셰이프 오브 워터: 사랑의 모양' '기예르모 델토로의 피노키오' '퍼시픽 림' 등을 연출한 멕시코의 세계적인 거장이다. 한국 방문은 이번이 처음. 델 토로 감독은 먼저 "한국 영화 너무 사랑한다. 한국 감독님들도 알고, 친구들도 있다. 한국은 첫 방문인데, 축제가 아름답고 규모와 수준도 대단하다.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축제 아닌가 싶다"라고 부산을 찾은 소감을 전했다. 박찬욱, 봉준호 등 한국 감독들과 영화에 대한 관심도 드러냈다. 그는 "봉준호 감독님 보면 혼돈, 부조리, 시적인 것들, 추악함 등을 한 영화에 버무린다. '살인의 추억' 보면 존재론적으로 깊은 질문들을 허술한 형사의 수사를 통해 드러낸다. '괴물'에서의 괴수 디자인도 너무 멋지다. 그러면서 한국 사회를 보여준다. 문화를 주제에 녹여낸다"라고 팬심을 전했다. 또한 "박찬욱 감독님은 아름답고 존재론적인 낭만적인 영화를 한다. 이런 감독은 찾을 수가 없다. 영혼이 살아있다. 다른 나라 어떤 영화에서도 볼 수 없는 유니크함이 있다"라며 "악마를 보았다(김지운 감독), 부산행(연상호 감독), 박찬욱, 봉준호 감독 영화들 볼 때마다 에너지와 힘을 느낀다"라고 한국 영화의 강점을 짚었다. 이번에 소개하는 '프랑켄슈타인'은 천재적이지만 이기적인 과학자 빅터 프랑켄슈타인이 극악무도한 실험을 통해 생명체를 탄생시키는 이야기​를 그린다. 메리 셸리의 동명 고전 소설을 각색했다. 배우 오스카 아이작과 제이콥 엘로디 등이 출연한다. 영화에 대해 델 토로 감독은 "나와 아버지의 관계에 대한 우화"라며 "전기적"이라고 소개했다. 이어 "아버지가 되고 나서야 내 아버지를 이해하게 됐다. 아버지와 아들 사이의 고통 같은 것들을 다뤘다"며 "아빠가 아들을 만들지만, 아들은 이해를 못 한다. 그들 사이 기대와 실망도 있다"라고 덧붙여 설명했다. 원작과의 차이도 언급했다. 그는 "어떻게 괴수가 만들어지는지, 빅터가 어머니에 대한 복수를 어떻게 할지 그런 엔진이 다르다. 캐릭터도 다르고, 주제적으로도 소설에 없는 것들을 다룬다. 전쟁에 대한 부분, 낭만주의에 대한 것들도 있다. 부자간의 스토리도 들어간다. 메리 셸리와 달리 나는 카톨릭이다. 그런 요소도 들어갔다"라고 전했다. 그동안 여러 작품에서 독창적인 괴수들을 만들어 온 델 토로 감독이다. 이번에도 '프랑켄슈타인'이라는 괴수물의 상징과도 같은 캐릭터를 델 토로 감독 스타일로 재창조했다. 이와 관련해 그는 "모든 선이 예술적으로 그려진다. 빅터는 아티스트다. 그런 부분이 드러난다. 골상학을 따라 표본을 만들었다. 해부학적으로도 정확히 만들려고 했다"며 "영화 표현 위해 완전히 새롭게 고안했다. 촬영 전 9개월간 비주얼을 꼼꼼히 준비했다"라고 준비 과정을 소개했다. 그가 계속해서 괴수물을 만드는 이유는 뭘까. 델 토로 감독은 " TV나 영화에서 보면 행복한 사람들만 본다. 그런데 삶은 고통으로 가득하고 완벽하지 않다. 괴물들은 완벽하지 않음의 성자와 같다"라고 말했다. …

원문: 바로가기 (Daum)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13,258 / 913 페이지
번호
제목
이름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