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자 정보
- 픽인사이드 연예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1 조회
- 목록
본문
김원희가 자신에게 깊은 속내를 드러낸 캐리를 위해 방송에서도 공개하지 않았던 자신의 꿈을 털어놨다. 11월 27일 방송된 MBN 개국 30주년 특별기획 3부작 ‘퍼즐트립’에서는 7세 생일을 한 달 앞두고 미국으로 입양된 캐리(한국 이름 이은정)의 가족 찾기 과정이 공개됐다. 이날 방송에서 김원희는 미국 플로리다에서 경찰 생활 중인 동갑내기 캐리를 만났다. 7살 생일을 한 달 앞둔 날 미국으로 입양된 캐리는 “(미국에 처음 도착했을 때) 저에게는 충격적인 순간이었다. 전 제가 어디 있는지도 모르고 계속 울었다”라며 “이때 가져왔던 가방을 아직도 가지고 있다. 제 이름도 쓰여 있다”라고 설명했다. 김원희는 익숙한 것에라도 의지하고 싶었던 어린 캐리의 마음을 떠올리며 눈물을 터트렸다. 캐리는 자신을 입양 보낸 엄마를 원망하지 않고 오히려 엄마가 죄책감을 잊고 평온하기만을 바랐다. 그때 만난 후 연락이 끊겼다는 캐리는 “(엄마를 만났을 때) 남편이 아팠다. 제가 서른한 살 때 남편이 세상을 떠났다. 그저 인생이 너무 바빴다. 그렇게 시간이 많이 흘렀고 엄마와 연락을 이어가지 못한 게 많이 후회가 된다”라며 자신이 31살 때 남편과 사별한 사연을 공개했다. 캐리는 자신보다 1살 많은 친언니가 있었으나 한국 가정에 입양됐다고 전하며 “친아버지는 제가 태어날 때 60대 후반이었다. 엄마도 연세가 많으시다. 절 낳으셨을 때 40대 후반이셨다. 그때 가정 형편이 너무 안 좋아진 거다. 저는 엄마와 집을 나오고, 언니는 친아버지와 살게 됐다. 그 후 엄마는 저를 돌보지 못하고 보육원에 보내셨다”라며 입양기관을 통해서 알게 된 가정사를 공개했다. 캐리는 엄마를 찾을 단서가 될 26년 전 엄마가 미국의 양언니에게 보낸 편지를 공개했다. 캐리는 작년 입양기관에서 해당 주소로 편지를 두 통 보냈지만 답을 받지 못 했다고 밝히며, 엄마가 살아계시다면 90대 후반일 것이라 예상했다. 캐리는 “만약 돌아가셨다면 저는 그래도 엄마 묘지에 가서 꽃이라도 전하고 싶다. 그렇게 제 사랑과 감사를 표현하고 싶다”라고 말했다. 당시 캐리 엄마가 작성한 입양 동의서를 본 김원희는 “입양 서류는 처음 본다. 저도 이쪽에 관심이 많다”라고 울컥했다. 캐리가 입양인에 대해 관심을 두게 된 계기가 뭐냐고 묻자, 김원희는 잠시 머뭇거리다 “저의 꿈이라고 할까. 15년 전 어느 날 꿈이 생겼다. 보육원 시설을 운영하는 게 제 비전이 됐다”라고 털어놨다. 김원희는 “저도 방송에서 처음 얘기하는 거다. 남편하고 20대 때 결혼 전에 상의했다. 우리는 아기를 낳지 말고 입양하자고. 남편도 선뜻 동의했다. 결혼하고 아이들 돌봐주는 일도 했었다. 그런 일을 하면서 입양하는 것도 좋지만 차라리 그 아이들을 내가 시설을 만들어서 여러 아이를 돌보고 싶다는 마음이 너무 크게 드는 거다”라며 “저희 네 자매가 보육 관련 자격증을 다 땄다. 보육교사 자격증도 따고, 동생들도 겹쳐서 사회복지사 자격증을 준비하고 있다. 나도 모르게 그런 데 마음이 쓰인다. …